어린이집 운영 관리

영아반(0~1세) 교사의 역할, 알고 계십니까?

초록별* 2024. 3. 7. 13: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린이집은 크게 영아반과 유아반으로 나뉘어 보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영아반 중에서도 0~1세(1개월~36개월, 한국 나이로 3세까지)는 발달차가 가장 큰 시기라 

교사의 역량이 많이 요구되는 반입니다.

 

그렇다면 0~1세 교사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따뜻한 마음

 

선생님들께서 기본적으로 갖고 계시는 따뜻한 마음온정적 태도는 보육교사가 가져야 할 기본적 자질입니다.

이와 함께 인내심도 필요하고 에너지참을성도 요구되는 직업이지요. 그래서 보육교사는 감정노동자에 속합니다.

 

 

발달에 대한 이해

 

영아기의 일반적인 발달에 대해 알고 기질적 특성 및 개별 발달에 관한 정확한 판단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영아의 다양한 요구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합니다. 

 

 

 

신뢰감 형성하기

 

신뢰감은 이후 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지지자, 안내자, 촉진자

 

교사는 영아에게 정서적 지지자이며 놀이나 활동을 지원해 주는 안내자여야 합니다.

24개월 이전에는 대부분 혼자놀이를 하기 때문에 집중하여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관심을 가져 주어야 합니다.

이후 병행놀이가 시작되면 다른 영아에게도 관심을 가져 볼 수 있도록 상호작용을 해 줍니다.

 

또한 일상생활을 돕고 학습(발달)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신체발달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로 넓은 공간에서 대, 소근육 발달을 돕는 놀잇감으로 놀이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놀잇감에 따라 놀이유형이 달라지며 12개월은 신체 놀이, 18개월은 기능 놀이, 24개월 이후에는 구성 놀이를 즐겨합니다.

 

놀잇감은 되도록 영아의 수에 맞게 비치하여 개별적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갈등을 예방합니다.

 

 

기본적인 욕구 우선 하기

 

영아는 안전, 위생, 영양 등 기본적인 욕구를 우선 지원해 주어야 합니다.

 

 

 

주의할 점 

 

영아반에는 무는 행동을 보이는 영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물기가 시작되면 영아의 수, 놀잇감 부족, 놀이 결여, 전이 시간, 감정(화, 좌절, 흥분 등) 등 빠르게 원인을 파악해 행동을 소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가 나는 시기라면 물고 빨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만약 무는 영아가 있을 경우 단호하게 제지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