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텃밭 프로그램 연간 계획 및 활동
어린이집에서는 영유아가 자연, 계절, 날씨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영유아들이 자연과 계절을 변화를 만나고 탐색할 수 있는 놀이환경으로 실외 공간에 텃밭을 운영하기도 하는데요. 텃밭은 영유아들이 채소를 정성껏 가꾸는 경험을 통해 생태계가 순환과 농작물이 자라는 원리를 알게 될 뿐만 아니라 더불어 사는 것을 이해하며 수확물을 이용한 요리활동 등 발달에 이로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봄 텃밭 프로그램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세히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텃밭 프로그램 계획하기
1.1 봄 텃밭 작물 결정하기
보통 어린이집에서는 상자텃밭을 운영함으로 주로 잎채소와 열매채소를 재배합니다. 수확하여 가정으로 보내거나 요리활동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1~2가지 작물을 심기도 하며, 작물을 관찰하며 텃밭을 가꾸는 경험을 우선할 경우 다양한 열매채소를 심기도 합니다. 3월은 어린이집 적응기간임으로 기온이 올라가는 4월부터 텃밭을 가꾸는 경우가 많으며 식목일에 맞추어 모종 심기 등을 하여 시작해 볼 수도 있습니다. 텃밭 작물은 모종을 심거나 씨앗을 뿌리게 됩니다. 모종을 심을 때는 흙에 모종의 뿌리정도의 깊이로 흙을 파내고 그 자리에 물을 준 후, 물이 스며든 다음에 모종의 뿌리를 넣고 흙을 살짝 올려 심는 것이 좋습니다. 씨앗은 적당한 간격을 두고 씨앗 크기의 2~3배 깊이로 흙을 판 후, 2-3 개의 씨앗을 놓은 뒤 흙으로 살짝 덮고 물을 충분히 줍니다. 씨앗의 경우 싹이 나면 속아내기, 옮겨 심기 등의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린이집에서 작물을 재배할 경우 모종을 심는 것이 관리하기보다 나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에서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종으로 심는 작물 | 상추, 쑥갓, 치커리, 토마토, 고추, 가지 |
씨앗을 심는 작물 | 강낭콩, 완두 등 |
1.2 연간 계획하기
계절별 텃밭에서 기를 수 있는 작물을 결정 한 후 모종이나 씨앗을 심고 기르고 수확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찰, 요리 등 영유아들의 흥미에 맞는 다양한 활동을 계획해 볼 수 있습니다. 연간 텃밭 활동 계획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월 | 활동내용 | ||
텃밭 | 예시 | 가정연계 | |
3 | ⋅텃밭을 만들어요. - 흙 관찰하기 |
사진 자료 넣기 | - |
⋅새싹채소를 길러요. | |||
4 | ⋅나의 텃밭 상자에요. - 상추 쑥갓 모종 심기 - 이름표 만들기 |
주말 또는 등·하원 시 텃밭에 물주기 |
|
5 | ⋅채소 모종을 심어요. - 토마토 심기 - 버팀대 세워주기 |
||
⋅강낭콩을 심어요. | |||
6 | ⋅텃밭에 여름이 왔어요. - 들깨 모종 심기 |
주말 또는 등·하원 시 텃밭에 물주기, 수확하기 |
|
7 | ⋅텃밭을 관찰해요. - 텃밭에 사는 생물 찾기 - 채소 수확하기 |
||
8 | ⋅사랑으로 키워요. - 친환경 텃밭 재배 |
주말 또는 등·하원 시 텃밭에 물주기, 동물 찾기 |
|
9 | ⋅가을 텃밭을 준비해요. - 흙 고르기 - 무 모종 심기 |
||
10 | ⋅텃밭을 지켜요. - 벌레 잡기 |
||
11 | ⋅가을 작물 거두어요. - 무와 배추 수확하기 |
주말 또는 등·하원 시 텃밭에 물주기, 수확하기 |
|
12 | ⋅텃밭에 겨울이 왔어요. - 텃밭 정리하기, 회상하기 |
2. 텃밭 활동 방법
2.1 영유아의 흥미 반영하기
텃밭은 영유아가 안전하게 마음껏 놀이하며 자연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 교사는 텃밭에서 놀이하는 영유아들을 관찰하여 필요시 상호작용이나 놀잇감 등을 제공하여 배움을 지원해야 합니다. 또한 영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활동을 계획하여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텃밭 활동 시 유아들의 배움을 지원한 보육일지 기록의 예시입니다.
지원 계획 | 지난주에 발견한 애벌레를 또 발견하여 관찰해 봄. 굼벵이라는 것에 대해 알려주고 움직임, 다리의 개수 등에 흥미를 보임. 몇몇 유아들은 만지고 싶다고 하여 조심히 만져볼 수 있도록 함. 유아들이 텃밭 생물에 관심을 많이 보임으로 교실에서도 발견한 생물들에 대해 탐색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음. |
지원 기록 | 텃밭에서 본 생물들과 관련된 책을 제공하고 사진과 이름이 있는 카드를 만들어 교실 벽면에 게시하였더니 몇몇 유아들이 흥미를 보이며 놀이함. |
놀이 관찰 후 즉시 지원 |
유아들이 텃밭에 물주는 것에 흥미를 많이 보임. 바람이 많이 불어 토마토 모종이 넘어져 있어 유아들이 바가지로 바람을 막거나 일으켜주는 모습을 보임. 지지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토마토모종에 지지대를 세워 묶어 줌. 토마토모종에 있는 노란색에 무엇인지, 상추의 색이 왜 검은색인지 묻는 등 텃밭채소에 흥미를 많이 보임. |
다음은 어린이집 평가 항목이 반영되어 있는 보육일지의 놀이 기록 및 평가 작성의 예시입니다.
하루 일과를 융통성 있게 운영 배움을 위한 자료 제공 교사와 영유아의 반응적 상호작용 영유아 또래 간 상호작용 격려 |
바깥놀이를 축소하고 유희실에서 대체활동을 하려고 하였으나 놀이터에서 계속 놀고 싶어 하는 유아들의 의사를 존중하여 한 시간 이상 놀이를 확장하여 진행함. 커다란 그릇, 쟁반, 숟가락, 재활용 용기 등을 제공하니 유아들이 돗자리 위에 앉아 극놀이를 함. 음식으로 사용할 재료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다 텃밭에 잡초를 제거한 후, 잡초를 이용해 놀이를 해 보기로 함. 잡초를 이용해 음식 만들기 놀이를 하다 물을 이용하고, 돌멩이를 찾아오는 등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가 활발히 진행됨. |
어제 했던 놀이를 이어서 하고 싶어 하여 책상, 그릇, 재활용 용기, 돗자리, 수건 등을 제공함. 음식 재료로 사용할 돌멩이를 찾다 네모, 동그라미 등 모양이 다름을 발견하고 신기해하는 모습을 보임. 돌멩이를 ‘고기’라고 표현함. 소금과 설탕이 필요하다며 물에 흙을 넣어 섞어 보기도 함. 미끄럼틀은 ‘수영장’이 되어 물놀이를 하는 놀이를 함. 놀이 중 공벌레, 꽃등에, 거미 등을 발견하고 한참 관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함. 미끄럼틀에 물 붓기, 그릇에 물 담기 등 물을 이용한 놀이를 주로 하여 옷과 양말이 젖는 경우가 있어 여벌옷과 양말을 준비할 수 있도록 가정에 안내해야하겠음. 자연물로 놀이한 후 한 곳에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음 놀이 시 재활용해 볼 수 있도록 안내함. |
영유아의 놀이를 위한공간 구성 및 운영 - 자연을 경험 할 수 있는 공간 구성 |
놀이터에서 각자 흥미에 맞는 다양한 대근육 놀이가 이루어짐. 지난주에는 주로 물과 풀로 놀이했던 유아들이 흙에 관심을 보임. 흙을 이용하려고 하나 숟가락으로 잘 떠지지 않자 물을 부어 진흙을 만들어 뜨는 모습을 보임. 일부 유아는 물을 받아 놓는 통에 그릇을 올려놓고 물 위에 뜨는 모습을 관찰함. 텃밭에 물주기, 달팽이, 벌레 등을 찾는 모습을 보이는 등 자연친화활동도 충분히 이루어짐. |
다음은 공벌레에 흥미를 보이는 유아들을 위해 교실에서 공벌레 키우기 활동을 진행한 보육일지 기록의 예시입니다.
공벌레 관찰하기 | 다른 유아들이 함께 관심을 보일 때는 애벌레에 흥미를 보인 유아가 다른 유아들이 벌레에 관심을 보이지 않자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관심이 없음을 표현함. 후에 다른 유아가 관심을 보이며 보려고 하자 자신이 찾은 거라며 빼앗는 행동을 보임. 유아들의 흥미는 또래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음. 전체적으로 공벌레 보는 것에 관심을 보여 하루 동안 교실에서 관찰해 보기로 함. 채집통에 넣어 두었더니 공벌레들이 흙 속으로 들어가 보이지 않자 흔들거나 뚜껑을 여는 유아들이 있어 작읍 투명 컵에 넣어두고 관찰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집을 옮기자 공벌레들이 움직이는 것이 잘 보여 유아들이 관찰하기 용이하였음. |
공벌레 집 만들어주기 | 공벌레를 찾아 움직임, 생김새 등을 관찰하는 모습을 보임. 공벌레, 큰 달팽이를 찾아 채집통에 넣어 두었으나 직접 만지지 못할 경우 큰 흥미를 보이지 않음. 유아들은 눈으로 보기 보다는 직접 만질 수 있을 때 더 흥미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음. 공벌레를 또 만나지 못할까 아쉬워하는 유아들이 있어 달팽이는 놓아주고 공벌레는 집을 만들어 준 후 교실에 가져와 좀 더 관찰을 해 볼 수 있도록 지원함. |
공벌레 키우기 | 공벌레를 찾아 집을 구성하거나 공이 되는 모습을 한참동안 관찰해 봄. 유아들과 공벌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니 먹이, 사는 곳 등에 관심을 보임. 낙엽을 먹는 다는 이야기에 낙엽을 주워와 잘라 주는 모습을 보임. 교실에서 공벌레를 키우고 싶어 하는 유아들이 많아 일단 교실에 두고 살펴보기로 함. |
2.2 텃밭 활동에 필요한 도구 제공하기
영유아들과 텃밭을 가꾸기 위해서는 연령에 맞는 도구가 필요 할 수 있습니다. 영아의 경우 작은 컵이나 물조리개를 이용하여 물을 주는 활동을 해 볼 수 있고 유아의 경우 물 주기 뿐만 아니라 모종삽으로 흙을 판 후 모종 심기를 해 볼 수 있고 버팀대를 이용해 토마토 등 열매식물을 돌볼 수 있습니다. 환경 교육으로 빗물을 모아 작물에 물을 줄 경우 빗물을 모으는 통을 준비해 놓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영유아의 놀이와 흥미를 반영하여 도구를 지원해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영유아들이 텃밭에 있는 애벌레나 달팽이 등 동물에 흥미를 보일 경우, 텃밭은 가꾸는데 필요한 도구뿐 아니라 관찰에 필요한 돋보기, 루페, 종이, 색연필 등 쓰기 도구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영유아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도구를 탐색하고 활용해 볼 수 있도록 하고 영유아가 스스로 선택한 방법 속에서 배움이 일어나도록 지원합니다. 텃밭 활동에 필요한 도구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텃밭 관리 도구 | 물조리개, 모종삽, 빗물 모으는 통, 분무기, 페트병 등 |
텃밭 관찰 도구 | 채집통, 집개, 돋보기, 루페, 종이, 색연필 등 |
2.3 연계활동 하기
텃밭활동은 다양한 놀이나 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습니다. 열린어린이집 프로그램으로 모종 심기, 주말 또는 등하원 시 물 주기. 수확하기 등을 운영해 볼 수도 있고 작물을 수확하여 요리 활동으로 연계하는 등 영유아들을 위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ESG교육, 생태교육, 식생활교육 등 다양한 교육에 활용해 볼 수 있으며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열린어린이집 | 어린이집 외부에 텃밭을 조성하면 주말이나 등하원 시간 대를 이용해 영유아가 부모와 함께 텃밭을 가꾸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활동의 예 ) 모종 심기, 수확하기, 물주기, 잡초 제거하기 등 텃밭 관리에 참여하기 |
ESG교육 / 생태교육 |
지속 가능 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에서는 자연을 아끼고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도심에서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텃밭을 활용하면 영유아들이 환경과 생태계 등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활동의 예 ) 재활용품을 이용해 이름표나 화분 등 만들기, 탄소발자국 알아보기, 실내식물 키우기, 벌레 관찰하기, 벌레 잡기, 배추흰나비애벌레 키우기, 익충과 해충 구분하기 등 |
식생활교육 | 텃밭에 모종을 심고 물을 주고 벌레를 잡으면서 채소를 정성껏 가꾸는 경험을 통해 생태계의 순환과 농작물이 자라는 원리를 알고 음식의 소중함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재배를 경험함으로서 안전하고 건강한 먹러기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게 합니다. 작물을 수확한 후에는 요리활동으로 마무리 해 볼 수 있습니다. |
다음은 텃밭 생물 중 해충을 발견한 유아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기록한 예시입니다.
1. 발견하기 텃밭에서 열심히 물을 주던아이들이 갑자기 줄기와 가지에물을 뿌리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유를 물으니 줄기와 가지에 벌레가 많아 물을 뿌리면 없어 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텃밭에 여러 생물들이 함께 살고 있음을 발견하고 어떤 생물들 살고 있는지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 |
||
2. 예측과 탐구과정 즐기기 / 생각을 나누고 소통하기(모둠활동) 텃밭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생물들의 사진과 이름을 살펴본 후 친구들과 함께 텃밭에 도움을 주는 생물과 힘들게 하는 생물을 구분해 나누어 보았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생각이 맞았는지 백과사전을 찾아보고 그 결과를 정리해 봅니다. ![]() |
||
3.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물로는 없어지지 안는 진딧물! 어떻게 하면 없어지게 할 수 있나요? 아이들과 함께 농촌진흥청의 유기농 채소 재배법을 참고하여 난황유를 만들어 진딧물을 잡아 보기로 합니다. 함께 만든 난황유를 분무기에 담아 진딧물이 있는 곳에 골고루 뿌려준 뒤 두 시간 후 텃밭으로 나가 물을 뿌리며 진딧물의 상태를 확인했습니다. 선생님이 손에 비닐장갑을 끼고 진딧물을 만지니 죽은 진딧물들이 손에 붙어 있습니다. 우리는 진딧물로부터 텃밭을 지켜냈답니다.! ![]() |
마치며
어린이집 텃밭활동은 영유아들이 생활 속에서 햇빛, 바람, 흙, 물 등과 같은 자연과 계절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놀이와 교육적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배움의 공간입니다. 영유아들이 텃밭에서 놀이하며 자연에 대한 직접적 경험을 통해 감수성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놀이 및 활동을 지원해 보세요. 이 글이 텃밭 활동을 하고 계시는 선생님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칩니다.
어린이집 봄 활동지와 봄 활동계획안 등 작성예시
어린이집 봄 활동계획안4월은 봄 관련 활동을 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계절이 바뀌면서 나타나는 달라진 날씨의 변화와 그에 따른 환경 변화에 대해 알아보면서 영유아들이 자연의 변화에 관심
teacher3.tistory.com
어린이집 건강 및 영양 교육 실시방법과 보육일지작성
건강 및 영양 교육어린이집에서는 영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건강 및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영유아 스스로 자신의 신체 및 정신 건강에 관하여 인식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초를 형성하게 도
teacher3.tistory.com
어린이집 놀이지원 계획 및 다음놀이 반영 예시
놀이지원 계획 및 다음놀이 반영 기록하기영유아가 놀이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보육교사는 관찰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기록을 바탕으로 영유아의 놀이 지원 계획을 수립하거나 다음
teacher3.tistory.com
어린이집 연령별 바깥놀이 기준 시간 및 대체활동 일지 작성하기
아이들을 돌볼 때 기준을 잡아 바깥놀이 활동을 운영하면, 영유아의 정서 및 신체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적절한 바깥놀이의 기준시간과 대체활동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
teacher3.tistory.com
'어린이집 운영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집 어버이날 행사 카네이션 만들기 활동과 효도쿠폰 양식 다운로드 (0) | 2025.04.21 |
---|---|
어린이집 평가 만점 보육일지 작성방법 예시 알려드립니다. (0) | 2025.04.20 |
어린이집 봄 활동지와 봄 활동계획안 등 작성예시 (0) | 2025.04.15 |
어린이집 어린이날 행사계획 및 행사일지 작성하기 (0) | 2025.04.15 |
신입원아 어린이집 적응을 잘 하기 위한 꿀팁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