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운영 관리

보육교사,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

초록별* 2024. 3. 6. 13:00
반응형

교사생활을 하다 보면 한번쯤은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내가 이걸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

 

 

어린이집의 경우 정년이 보장되어 정년퇴임(보통 60세) 할 때까지 한 직장에 쭈욱 있는 직종이 아니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고민과 준비는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 정년까지 일을 하지 못하냐고요?

 

 

폐원하는 어린이집은 점점 늘어날 것

 

2023년 출산율은 0.72명으로 올해는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맞벌이 가정과 영유아의 수가 많은 지역을 제외하고는 폐원하는 기관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취업의 문턱도 높아질 가능성이 많아졌습니다.

 

 

유보통합이 되면 어떻게 될지 

 

현재 보육정책은 보육의 질 개선을 위한 유보통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가격 강화는 필수이며 학력 및 자격 사항에 따라 처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경력이 많으면 취업 시장에서 냉대

 

경력직으로 이직하기 가장 좋은 경력은 2~3년입니다. 더불어 기존에 잘 운영되고 있는 어린이집의 경우 신입교사를 우선으로 채용합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5호봉 이상의 경우 중간 입사나 신설 어린이집이면 채용 가능성이 높은데 현재 신설 어린이집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는 곳을 제외하고는 드뭅니다.

 

 

국공립이지 공무원은 아니니까

 

 '국공립 어린이집인데 안정적이지 않을까?' 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재정적인 측면에서는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으나

계약직으로 고용되기에 안정적이라고 할 수 없겠습니다. 다만 2년 이상 근무 시 무기계약직 전환이니 퇴사를 강요할 수는 없으나 경우에 따라 눈칫밥은 먹을 수 있겠습니다. 직영이 아닌 경우 개인 또는 단체에 위탁해 운영하는 곳이 많아 인사권이 바로 직속 상사(원장님)에게 있지 때문입니다. 

 

 

정년이 아닌 나이제한만 있을 뿐 

 

일반적으로 보육교사는 정년이 있지 않으며 인건비 보조금 지원 연령 상한 기준을 60세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인건비 지원을 받고자하기에  60세 이상은 근무하기 어렵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부 재단이나 법인의 경우 취업규칙에 정년이 명시되어 있는 곳이 있기도 하니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원 충족률이 중요해

 

 

영아반이 많고 규모가 큰 곳에 정원 충족률이 높은 곳은 상대적으로 재정이 안정적이라 호봉이 높아져도 재직에 대한 부담이 덜 합니다. 

 

 

 

따라서 경력이 5년 이상 된 분들이라면 노선을 빨리 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교사라하면 경력이 많을수록 인정과 존경을 받을 수 있겠으나 보육교사에게는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교사생활을 좀 더 하고 싶은데...

 

 

 

하시는 분들은 재정적으로 안정적인 국공립이나 법인 등에 영아반이 많은 곳이 좋습니다. 영아반의 경우 교사 인건비 지원율이 80%이기에 보다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겠죠. 그리고 필요한 경우 학력이나 자격사항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어린이집 말고 다른 일 없을까?

 

 

 

경력이 아깝고 익숙하고 잘 해왔던 일이기에 쉽게 포기하지 못하는 보육교사로서의 삶... 기회가 되면 다른 직종을 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어린이집 경험을 살려 사무직으로 이직할 수 있기 때문이죠.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나 각 지자체 센터에서 직원을 채용하기도 하고 '한국보육진흥원'에서도 직원을 채용합니다. 굳이 어린이집 경력을 살리지 않고도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 잘 지내고 계시는 선생님들도 있답니다. 용기를 내세요!

 

 

이왕 시작한거 원장까지!

 

 

보육교사의 끝은 원장이 아닐까요?  원장 자격증과 대학원 학위를 준비하신 후 기회를 노려보세요.

가정, 민간 등을 인수해 원장을 할 수도 있고 국공립을 위탁받을 수도 있습니다. 어렵다면 재단이나 법인 등에 원장으로 채용되는 방법도 있습니다. 재단이나 법인 등은 대부분 원장 경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가정, 민간 어린이집 운영으로 시작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국공립의 경우 간혹 국공립 교사로 오래 재직하신 분들 중에서 위탁을 받기도 하는데 보통 15년 이상의 경력이 필요합니다. 국공립 위탁은 지자체마다 점수표가 다름으로 확인 후 준비해 보시길 바랍니다. 다양한 항목 중 자원봉사가 있는데 '1365 자원봉사포털'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실적을 쌓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